UX실무자도 프로덕트 리더처럼 생각해야해요

세상의 UX

2025. 4. 10.

UX 조직은 늘 “사용자를 위한 디자인”을 외치지만, 실제 제품 개발 과정에선 종종 우선순위에서 밀리는 경험을 하곤 합니다.
왜 그럴까요? UX가 제품, 엔지니어링, 비즈니스 사이에서 겪는 현실적인 갈등과 그 해결 방향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이 글은 닐슨노먼그룹의 UXers Need to Think Like Product Leaders 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1. UX는 왜 자꾸 의사결정에서 밀릴까?

권한과 결정 권한의 불균형

기술 중심 조직에서는 UX가 최종 의사결정에서 배제되는 일이 많습니다.

  • 무엇을 만들지, 어디에 예산을 쓸지는 주로 제품 또는 엔지니어링 리더가 결정합니다.

  • UX팀은 “디자인만 해달라”는 요청을 받으며 전략 논의에는 제외되곤 합니다.

“왜 우리가 사용자 입장에서 중요하다고 느끼는 문제는 자꾸 무시되는 걸까?”라는 좌절이 여기서 생깁니다.

2. 우선순위 불일치와 커뮤니케이션 단절

빠른 속도를 원하는 제품팀 vs. 방향성을 찾는 UX팀
제품팀은 빠른 출시와 반복을 강조하지만, UX팀은 장기적 사용자 관점에서의 설계를 고민합니다. 여기에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차이도 존재합니다.

  • 제품팀: 사용자 성장, 전환율, 리텐션 등 비즈니스 중심 언어 사용

  • UX팀: 감정, 맥락, 사용 흐름 등 질적 사용자 경험 중심

이 차이를 메우지 않으면, UX의 목소리는 조직 내에서 가볍게 여겨질 수밖에 없습니다.

3. 리소스 부족과 역할 중첩의 현실

UX가 빠진 자리에 누가 들어오는가?
감원 이후, 많은 조직에서 UX 인력이 줄어들고, 그 공백을 제품팀과 엔지니어링팀이 대신하고 있습니다.

  • PM이 사용자 리서치를 하고,

  • 엔지니어가 피그마로 프로토타입을 만들고,

  • 누구나 “UX”를 말하지만, 전문성이 희석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4. 이제는 비즈니스 관점에서 생각해야 할 때

많은 UX 리더들이 말합니다:

“UX 디자이너도 비즈니스를 이해해야 한다”


프로덕트 리더처럼 생각하기

  • 어떤 기능이 왜 필요한지

  • 고객을 확보하고 유지하는 전략은 무엇인지

  • 경쟁사는 어떤 UX 전략을 쓰는지

이러한 조직의 큰 그림 속에서 UX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를 이해해야 합니다.

🤝 전략적 협업을 시도해보세요

  • 사용자 리서치에 관심 있는 PM과 손잡고, 빠른 가설 검증을 시도해보세요

  • 기술 제약을 고려한 설계로 엔지니어의 신뢰를 얻으세요

UX가 제품 전략의 일부로 기능할 때, 진짜 힘이 생깁니다.

5. 조직의 성격에 맞는 언어로 이야기하자

데이터 기반 조직이라면?

  • 디자인이 전환율, 리텐션 등 KPI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로 제시

엔지니어 중심 조직이라면?

  • UI 개선이 개발 효율성, 유지보수 비용 절감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언급

제품 중심 조직이라면?

  • UX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 방식, 제품 로드맵과의 정렬 강조

6. 조직 안에서 UX 실무자가 살아남으려면?

  • 정치적 감각을 기르세요: 언제 어떤 이야기를 해야 할지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 직함에 집착하지 마세요: UX라는 이름이 아니더라도 제품과 고객 경험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리서치 실용주의: 완벽한 리서치보다 빠른 피드백 루틴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 크로스펑셔널 스킬: 제품, 리서치, 개발의 언어를 이해하세요. 협업이 더 쉬워집니다

UX, 더 이상 주변이 아니라 중심으로

조직을 UX처럼 바라보세요.
사용자의 경험을 맥락 속에서 설계하듯, 조직 안에서 UX의 역할도 맥락에 맞게 설계해야 합니다.
UX가 단순한 화면 디자인을 넘어서, 제품 전략의 핵심 파트너가 되기 위해선 이제 다른 언어로, 다른 방식으로 일해야 합니다.

유저스푼이 궁금하시다면?

지금 무료로 도입 문의를 신청해 보세요

유저스푼이 궁금하시다면?

지금 무료로 도입 문의를 신청해 보세요

해당 웹사이트는 Chrome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 DBDLAB Corp.

해당 웹사이트는 Chrome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 DBDLAB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