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정말로 업무 환경을 바꾸고 있을까?

세상의 UX

2025. 3. 11.

2023년 ChatGPT가 등장하면서 많은 기업이 AI가 곧 업무 혁신을 가져올 것이라 기대했어요. 하지만 2년이 지난 지금, 현실은 좀 다릅니다.

Pew Research Center의 조사에 따르면, 미국 근로자의 81%는 AI를 거의 또는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고 답했어요. 심지어 17%는 직장에서 AI가 활용되는지조차 모른다고 해요.

AI, 정말로 잘 활용되고 있는 걸까요? 아니면 아직 많은 사람들이 AI에 익숙해지지 않은 걸까요?
이번 글에서는 AI의 실제 업무 도입 현황UX 관점에서 AI를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것들을 알아볼게요.

[ 이번 포스트는 닐슨노먼 그룹의 기사 AI Adoption in the Workplace Still Low, 2 Years Later 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


📊 81%의 직장인은 AI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Pew Research Center가 2024년 말, 5,000명 이상의 미국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1%가 업무에서 AI를 거의 또는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고 답했습니다.

또한 17%는 AI가 직장에서 사용되고 있는지조차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고 응답했죠. 하지만 이는 AI 도입이 “느리다”는 의미라기보다, 산업별·업무별 차이가 크다는 점을 반영한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생각보다 AI 도입률이 낮은 이유는 AI가 아직 모든 직군에서 필수적인 도구가 아니기 때문이에요.

예를 들어, IT·데이터 처리·금융 업계에서는 AI 활용도가 높지만, 서비스업·건설업에서는 AI의 필요성이 적어요. 실제로 AI 챗봇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 중 36%는 “업무에서 AI가 필요 없다”고 답했어요.

AI가 모든 산업에서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다는 인식과 달리, 실제로는 특정 직군에서만 활발히 도입되고 있는 것이죠.


👥 젊은 사람일수록 AI를 더 잘 활용한다?

AI 사용 패턴을 보면 연령별, 직군별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 연령별 차이

젊은 직장인(18~29세) → AI 활용도가 상대적으로 높음
중장년층(50세 이상) → AI 도입에 대한 관심이 낮고, 필요성을 덜 느낌

젊은 세대는 AI 기반 툴을 능숙하게 사용하며, ChatGPT나 AI 기반 자동화 도구를 활용해 업무 생산성을 높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 중장년층은 기존 업무 방식에 익숙하기 때문에 AI의 필요성을 덜 느끼는 경우가 많죠.


📌 AI가 익숙한 세대의 특징

✔ 밀레니얼 세대 – 인터넷을 빠르게 채택
✔ Z세대 – 소셜미디어를 빠르게 익힘
✔ 앞으로의 AI 네이티브 세대 – AI 활용이 자연스러워질 가능성 높음

기술에 익숙한 젊은 직장인들은 AI를 아이디어 생성, 프로그래밍, 데이터 분석 같은 복잡한 작업에도 활용하지만, 50세 이상 근로자들은 AI 사용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낮았어요.

그래서 AI를 도입할 때 연령별 차이를 고려한 UX설계가 중요합니다.
젋은 사용자와 고령층이 모두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AI기능을 직관적으로 설계해야합니다.


🤖 대부분의 AI 사용은 아직 단순한 기능에 집중

많은 사람이 AI를 복잡한 업무에 활용할 거라 생각하지만, 현실은 다릅니다.
리서치 결과에 따르면, AI 챗봇의 가장 흔한 사용 사례는 정보 검색(57%), 텍스트 편집(52%), 초안 작성(47%) 등 비교적 간단한 작업이었어요.

📌 AI의 주요 사용 사례

✅ 정보 검색 (57%)
✅ 텍스트 편집 (52%)
✅ 초안 작성 (47%)

📌 고급 작업 활용도는 낮음

🚫 아이디어 생성 (35%)
🚫 데이터 분석 및 코딩 지원 (27%)
🚫 이미지·동영상 생성 및 편집 (21%)


🚀 AI 사용 경험이 쌓일수록 유용성이 커진다

AI를 자주 사용하는 사람들은 AI의 유용성을 더 높게 평가했어요.

AI를 자주 사용하는 그룹(월 몇 회 이상) → AI 유용성 54%
AI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그룹 → AI 유용성 25%

📌 그럼 왜 AI를 많이 사용할수록 유용하게 느낄까요?

✔ AI 기능을 더 잘 이해하고 적절히 활용할 수 있기 때문
✔ 점점 더 다양한 방식으로 AI를 업무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
✔ 효과적인 프롬프트 작성법(Prompt Engineering)을 습득할 수 있기 때문

AI가 사람들에게 익숙해지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해요.

지금은 많은 사람이 AI가 정확히 무엇을 할 수 있는지조차 모르는 단계이기 때문에, 단순한 기능(예: 제품 추천, 플레이리스트 생성)이 광범위한 AI 기능보다 더 쉽게 받아들여지고 있어요.


📌 디자인 팀을 위한 시사점

✅ AI는 업무에서 활용되고 있지만, 예상보다 빠르게 확산되지 않음
✅ AI 경험이 부족한 사용자를 고려한 UX 설계 필요
✅ 젊은 사용자가 AI를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므로, 연령대별 테스트 중요
✅ AI의 활용 사례를 명확하게 제시하고, 점진적으로 사용성을 높이는 전략 필요

AI는 여전히 많은 사람에게 익숙해져야 하는 도구입니다.
사용자 경험을 고려한, 누구나 쉽게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에요.

유저스푼이 궁금하시다면?

지금 무료로 도입 문의를 신청해 보세요

유저스푼이 궁금하시다면?

지금 무료로 도입 문의를 신청해 보세요

해당 웹사이트는 Chrome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 DBDLAB Corp.

해당 웹사이트는 Chrome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 DBDLAB Corp.